신체를 캔버스 삼는 예술.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자신의 몸에 문신을 새기는 문화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오랫동안 타투의 이미지는 편견으로 가득 차 있었다. ‘양아치 같다’, ‘험악하다’ 등의 고정관념을 갖거나 영화 속에서 건달들의 몸을 친친 휘감은 용이나 호랑이 무늬를 연상하곤 했다.
그랬던 문신이 명예회복을 했다. ‘타투’라는 단어로 복권된 것은 물론이고 유명인들은 자신의 좌우명에 각별한 의미를 부여한 무늬로 타투를 당당히 새겨 과시한다. 일상 속 깊숙이 들어온 타투는 이제 저마다의 개성을 드러내는 장치로 문화의 주요 흐름을 장식하고 있다.
전체보기: 서울신문(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709025003)
'미디어 > 지면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일보] 법과 현실 사이 음지에 갇힌 '타투 시술'... "의료행위" vs "예술적 표현" (0) | 2021.07.12 |
---|---|
[한국일보] "의료 행위서 지워주세요" 타투의 하소연...합법화 목소리 확산 (0) | 2021.07.12 |
[중앙일보] 타투 노조 지회장의 1심 선고 연기…관심 커지는 합법화 논란 (0) | 2021.07.12 |
[세계일보] 타투 인구 1300만… 합법화 논란 여전 (0) | 2021.07.12 |
[BAZAAR] 정치인 류호정이 말하는 '내가 백리스 드레스를 입은 이유' (0) | 2021.07.12 |